본문 바로가기

패킷트레이서

라우팅 프로토콜 정리

728x90

https://fmyson.tistory.com/188 참조

 

1. 라우팅 메트릭( Metric )

  • 라우터가 목적지에 이르는 여러 경로(루트) 중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는데,
    서열 기준을 매길 수 있게끔 숫자로 환산하는 변수

2. 라우팅 메트릭 값 의미

  • 경로 상의 네트워크 또는 링크들을 모두 거쳐 지나가는데 할당되는 비용
    • 특정 경로 상의 총 메트릭
      • 그 경로에 속하는 각 네트워크 또는 링크들의 메트릭의 합
  • 결국, 라우터는 가장 적은 메트릭 값을 갖는 경로를 찾게됨

RIP : Metric은 Hop ( 다이나믹 라우팅 )

EIGRP : 5가지를 확인하는데 

  1. BandWidth (대역폭)
  2. MTU
  3. Reliability (신뢰성)
  4. Delay (지연)
  5. load (부하)

OSPF : 대역폭의 역수에 상수를 곱한다.

여기서 상수란 호스트를 뜻함

 

AD : 다른 프로토콜 ( 둘 중 우선순위 값이 낮은 것을 선택 )

* 미리 정의해주자는 것으로 Default로 정의된 것을 우선순위가 됨

Metric : 같은 프로토콜 내에서 어떤 경로를 선택할 것인가를 숫자로 나옴

 

AD 값이 0이라면 "직접 연결된 것"을 의미

AD 값이 1이면 "스태틱 연결"을 의미

AD 값이 120이면 "RIP"를 의미

AD 값이 90이면 "EIGRP"를 의미

AD 값이 110이면 "OSPF"를 의미

 

Process Switching : 모든 패킷이 CPU를 거쳐서 감

Fast Switching : Flow 첫 번째 패킷만 CPU에 의해 확인되고 전송 경로를 cache하여 나머지 패킷을

빠르게 처리

CEF : 첫 번째 패킷 조차 검사하지 않으며 라우팅 테이블을 기반으로 패킷이 들어오지 않더라도 Cache를 생성

FIB : 라우팅 테이블과 비슷하다.

SDM

'패킷트레이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CCNA2 정리  (1) 2022.12.13
ccna2 정리  (0) 2022.12.06
CCNA2 정리  (0) 2022.11.30
STP 실습  (2) 2022.09.29
패킷 트레이서 기본 명령어  (0) 2022.09.05